컨텐츠 바로가기

함께하는 세상

  • Home
  • 함께하는 세상

[환경] 멸종위기 천연기념물 따오기를 아시나요?

이승민 기자

본 기자는 2017년 10월 15일(일)에 경남 창녕군 유어면 대대리에 위치한 우포 따오기 복원센터를 갔습니다.

따오기 복원센터는  2016년 10월 4일부터 부분 공개를 하였으며, 창녕군청 홈페이지에 우포따오기 관람 예약 메뉴로 사전 예약을 통해서 관람을 할 수 있습니다.

따오기관람에 주의사항은 따오기가 다른 새들보다 무척 예민하기 때문에 원색 계열의 복장은 피하고 큰 소리로 이야기하거나 고함을 쳐서는 안 된 합니다.

 

따오기 복원센터 ▲ 우포 따오기복원센터 / 따오기복원센터 입구와 복원센터시설<사진: 이승민 기자>

 

입구를 지나게 되면 알코올 성분의 소독약이 발 옆으로 자동 분사되고 '따오기' 동요가 울려 퍼졌습니다. 

부분 개방된 방사장에는 20마리의 따오기가 있었습니다. 암수 구별은 다른 새들과 다르게 눈으로 봐서는 구별이 어려운데, 수컷이 미세하게 크고, 횟대에 올라가는 새가 수컷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그리고 따오기는 비 맞는 것을 좋아합니다.

세계 공통으로 인공으로 키운 새들은 빨간색 발찌를 끼면 수컷이라고 하니, 인공 방사된 새가 빨간 발찌를 하면 수컷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오기 ▲복원센터시설, 시설내 따오기 모습 <사진: 이승민 기자>

 

우리나라 따오기는 79년 DMZ에서 마지막으로 멸종되었고, 2008년 중국과 외교로 한 쌍(양저우, 룽팅)이 김해공항으로 들어왔고, 우리나라에서 따오기가 살 수 있는 최적지인 우포늪에 복원센터가 건립되어 현재 314마리가 복원되어 있습니다.

 

우포늪은 람사르 습지로 겉보기에 잔잔한 늪 같지만 480여 종의 식물류, 62종의 조류, 28종의 어류, 55종의 수서곤충류, 12종의 포유류, 7종의 파충류, 5종의 양서류, 5종의 패류 등 수 많은 동식물이 서식하는 곳입니다. 이곳은 계절마다 다양한 철새와 희귀식물이 많이 자라는 곳으로 먹이가 풍부하고 70만 평의 늪지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인 점에서 이곳에 복원센터가 세워졌답니다. 

2007년 10월 18일 복원센터가 개방되었으며, 내년 상반기에 방사에 적응되는 따오기를 야생에 방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따오기 ▲ 따오기 특징과 일생(좌)/ 따오기 멸종과 복원과정(우) <사진: 이승민 기자>

 

따오기 특징은 소나무나 낙엽 활엽수 가지 사이에 둥지를 틀고 논, 하천 저수지, 호수 등에서 사냥을 합니다.

그리고 오염되지 않은 환경에서 사람과 가까이 사는 친근한 새입니다. 또 평상시에는 넓은 평지에서 활동하고 봄에는 사람이 사는 집 근처에 있는 산 근처에 있는 논이나 하천 주변에서 번식하며 미꾸라지, 작은 물고기, 개구리 등을 먹습니다. 

따오기 멸종 원인은 예전보다 농약을 많이 사용하고, 사람들이 무분별하게 포획을 많이 하고, 천적들이 많아지고, 환경이 오염됐기 때문입니다. 

 

따오기 ▲유사따오기 <사진: 이승민 기자>

 

따오기복원센터에는 일본에서 온 유사 따오기가 있는데 유사 따오기는 흥분을 많이 하고, 호기심이 많아서 사람 주변으로 자주 옵니다. 사진상 까만색으로 보이는 깃털은 가까이서 보면 공작새와 같이 다양한 빛깔이 보입니다.

반면 따오기는 사람들에 대한 경계가 많고 예민해서 가까이서 보기 어렵습니다.

 

 

따오기 ▲ 복원된 따오기 <출쳐: 창녕군청홈페이지>

 

따오기 ▲ 따오기알 < 출쳐:창녕군청홈페이지>

 

본 기자는 우리나라에선 멸종되었다가 복원된 천연기념물 제198호 따오기를 실제로 보아서 뜻깊었고, 따오기의 크기는 생각보다 크고, 깃털은 깨끗하고 예뻤습니다.

 

해설해주는 분의 친절한 설명으로 따오기와 우포늪에 대해서 알게 되어 뜻깊었습니다. 식물이 한 종류가 사라지면, 거기에 따른 다른 생명체도 사라진다는 해설사님의 설명에 자연을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목록

  • 신준환취소

    따오기알의 크기를 알기쉽게 표현한 것 같아요

    2017-11-25

  • 이승민취소

    감사합니다.

    2017-12-01

  • 김서현취소

    따오기에 대해 더 잘 알게 된 기사 감사합니다

    2017-11-30

  • 이승민취소

    복원센터에 방문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알게 되실꺼여요^^

    2017-12-01

  • 김동호취소

    따오기는 멸종위기종이죠... 인간은 자연을 파괴하고 그 대가는 그대로 돌아온다...

    2017-12-11

  • 여지은취소

    따오기알을 여러 알과 비교하다니 좋은 아이디어네요

    2018-11-30

  • 박미소취소

    따오기 꼭 멸종위기에서 회복되었으면 합니다

    2021-11-27